생각

곽재률 1년 리뷰 1. 시작글

곽재률 2021. 9. 13. 18:20

총 75개의 글을 썼구나?

꽤나 적지 않은 숫자라 놀랐다.

 

블로그 첫 글을 보니 기억이 안 날 수가 없다.

 

곽재률 태어나서 처음으로

블로그 시작이다🎉 초등학생 때 네이버 블로그로 개설만 하고 글을 안 썼었다. 그냥 처음이라 할래요! 블로그의 이름은 "곽재률"이다. 본명이고, 나 다운 블로그를 보여주고 싶다. 나도 어떻게

rhkrwofbf.tistory.com

이 때 정말 많은 생각을 한 기억이 난다.

 

1. 나만의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아쉽게도 전문 지식이 없기도 하고, 또 내 주관을 말하고 싶었다.

그래서 지식, 정보 공유만의 목적의 블로그를 하고 싶지 않았다.

 

또 뒤에 한번 더 설명할

 

2. 어떤 사이버 일기장의 역할로, 그 날의 감정을 분출하고 사건을 나열하는 용도로만 글을 적고 싶지 않았다.

그런 건 내가 다시 읽어도 의미없을 뿐 아니라, 타인이 다시 읽으면 더더욱 의미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난 가치있는 글을 좋아하고,

내 글도 어떤 타인, 그리고 나에게 의미가 되길 원했다. 

 

그럼 뭘 써야할까?

 

고민하다 생각한 건데,

정말 내 위치의 사람은 많은데, 이런 입장에서 제대로 된 솔직한 생각을 적는 것은 보지 못했다.

 

전역하고 브런치의 글을 즐겨 읽었다. 

정말 재밌어서 생각없이 계속 읽게 되었다.  

좋은 생각에 대해 쓴 글은 정말 많았다.

유명한 심리학교수, 심리치료사부터

어떤 재야의 철학자나, 특정 사상을 가진 사람까지

전문 지식을 대상층에 맞게 잘 정리한 글이 많았다.

하지만, 지금 내 위치의 사람(취업을 못한 대학생, 30대에 접어드는 사람)의

깊이 생각해서, 솔직하고 가치있는 글을 쓰는 사람은 참 소수였다.

 

솔직하기만 한 글이라면,

사실 10대 여학생의 일기 같은 솔직한 블로그는 정말 많다.

오늘 ~했다. ~느꼈다. ~에 화났다. ~가 미웠다. ~가 좋았다. ~를 배웠다. 내일 ~

개인에게 하루를 정리하는 면에선 어느정도 좋지만,

남이 읽기에 배려있고 가치있는 글이 아니다.

 

일반적이든, 특별한 사건을 겪었든

사건과 감정에서 멈춘 일련의 글을 보면,

꼭 사건-감정 시퀀스의 입출력 값 뭉치를 보는 것 같다.

사람의 사고판단기준(가치관)이 어떤 함수라면, 그냥 입력값(사건, 상황)과 결과값(감정과 했던 행동)만 나열된 느낌이다.

사실, 좋은 이야기(저명한 소설이나, 신화, 시 - 문학)들은 이런 사건과 감정, 행동의 형식을 띄고,

인류의 가장 강력한 지혜 전달 수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고 판단 - 가치의 서열(가치관)    을 재정립시킨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들은 각 작품들의 나름의 방식으로 함수에 대한 사고를 촉발한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그 효과를 오랜 시간 검증받고 인정받았다.

이런 이유에서, 

문학과 하루를 풀어놓은 일기장의 가치가 다른 이유이다.

 

난 비전문가의 시선, 일반적인 사회초년생의 시선에서 솔직한 생각을 적고 싶었다.

문제를 직면하고, 할 수 있는 선에서 어떤 가치판단이 옳은지 지식을 찾고,

가장 가치 있는, 도움된다고 생각되는 결론을 도출해 글을 적고 싶었다.

 

그 수단으로 어떤 가치에 대해, 이슈에 대해 생각할 수도 있고,

독후감이나 시를 읽고 해석하고 생각할 수 도 있다.

또 내가 보낸 하루에서 느낀 점을 줄줄이 풀어놓을 수도 있다.

그 하루는 우울하면 우울해서 느낀 것, 행복하면 행복해서 느낀 것을 솔직히 쓸 것이다.

 

난 똑똑한 사람이 아니고, 전문지식이 있는 사람이 아니다.

부지런한 사람도 아니고, 어떤 특출난 재능이 있지도 않다.

그래서 오히려 나 같은 사람이 더욱 공감이 될 것이라, 더욱 가치 있어질 것이라 기분좋게 긍정했다.

 

어느 문제에 직면하고,

고민을 하고,

어느정도의 지식을 찾고 종합하여,

결론 짓는다는 개념은

내 블로그에서 발명한 것이 아니다. 

난 그게 사람이 살아가고, 옳은 가치관을 형성하는 일이라 생각한다.

누구나, 모든 분야에 전문가는 될 수 없더라도, 항상 최선의 판단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괜히 나만 굳이 쓸데없는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때도 있다.

이런 가치에 대한 고민을 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편차가 크게 나는게 사실이다.

난 이런 가치에 대해 흔들리고 고민하는 사람이,

정말 사람다운 사람이고 발전하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많은 심리학 저서에서 옳은 가치와 생각을 갈고 닦는 것 만큼,

행복한 삶을 향하게 하는 원동력은 없다고 한다. 

그래서 수 많은 심리학책이나, 자기개발도서들이

쌩뚱맞을지 모르는 사랑이나, 인류애, 가치관들을 논하는 것이다.

 

내 블로그의 대상은 이런 생각많은 사람들이다.

내 글을 읽고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고,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함께 한다는 서로에게 응원이 됐으면 좋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라는 블로그의 목적을 블로그 첫 글에 쓰려했었다. 

 

하지만, 다 써놓고 뭔가 불편한 느낌이 들어

블로그를 왜 써? 라는 물음을 더 생각해보니,

이유를 짧게 설명할 수 있었다. 외로워서

 

블로그를 쓰면, 분명 혼자 하는 행위인데도,

나를 알아가는 것, 친해지는 것이고, 외롭지 않을 수 있다.